랩터를 raid1으로 묶었다. 이거 하면서 알게된건데 메인보드에 있는 raid는 fakeraid라고 한다. 말 그대로 바이오스에서 raid인척 속이는 거다. 그래서 우분투에서는 이걸 지원 안하는거같다. 내 시스템에서 한번 해봤는데 설치는 되는데 부팅이 안된다. 그래서 깔끔하게 접고 우분투가 미는 소프트 raid로 설치했다.
설치시 파티션에서 raid를 잡아주면 된다. 파티션을 매뉴얼 모드로 들어가서 두개의 하드를 똑같은 크기로 나눠준다. /boot용 100m, 스왑용으로 메모리 용량만큼, xxx용으로 한 20기가, 나머지는 /로 나눴다. 용도는 모두 physical volume for raid로 설정해준다.
그리고 같은 용량끼리 레이드로 묶어준 다음에 만들어진 레이드 파티션에서 각각 boot 용, 스왑 등 용도를 설정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. 그러니까 나누고, raid 파티션 만들고, raid파티션에서 용도 설정하는 순서다.
이 개념으로 설치하면 간단한 영어문장 읽어가며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.
(대충 써 놔서 나중에 후회할 듯 싶다....ㅠㅠ)
'주변기기 > 우분투(서버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buntu-tweak 설치 (0) | 2014.06.09 |
---|---|
chroot를 이용한 최상위 폴더 설정하기 (0) | 2014.06.03 |
우분투를 주력으로 새롭게 세팅하다. (0) | 2014.06.01 |
Mysql서버 백업하기(이론 없음. 오직 경험뿐) (0) | 2012.12.06 |
서버 설정하며 새로 알게된 것들 (0) | 2012.09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