/etc/vsftpd.conf에서
chroot_user_enable(맞나)=yes 및 /etc/vsftpd.chroot_list=yes를 주석해재하고
/etc/vsftpd.chroot_list를 만들어서 가둬둘 user를 적어 넣는다. 그냥 id만 넣어주면 된다. 여러개면 한줄에 하나씩 넣으면 된다.
이러면 그 아이디는 갖힌다.
그런데....
이러면 ...
안된다....ㅠㅠ
접속이 되어도 읽고 쓸 수가 없다. 이유를 알아냈다.
참고 사이트 : http://hwanud.egloos.com/viewer/3075923
chroot를 사용하고자하는 계정(디렉토리)는 소유자가 root이어야 한다.
sudo chown root:사용자id /홈디렉토리
그리고 root만 write권한이 있어야 한다. 그래서 홈디렉토리를 chmod 755걸어준다.
sudo chmod 755 /홈디렉토리
그럼 ok
가 아니다..또 안된다.
왜냐하면 홈디렉토리 자체는 root만 write할 수 있으니까.ㅎㅎ 그럼 어떻게하냐. 그 안에 서브 디렉토리를 만든다. 그 폴더들이 읽고 쓸 수 있게 되는 것이다. 그 디렉토리의 소유권은 당연히 사용할 계정이다.
sudo chown 사용자그룹:사용자id /홈디렉토리/서브디렉토리
그럼 된다. ㅎㅎ
'주변기기 > 우분투(서버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ost 키값 변경하기 (0) | 2014.10.28 |
---|---|
ubuntu-tweak 설치 (0) | 2014.06.09 |
우분투 서버 설치 소프트 raid 파티션 설정 (0) | 2014.06.01 |
우분투를 주력으로 새롭게 세팅하다. (0) | 2014.06.01 |
Mysql서버 백업하기(이론 없음. 오직 경험뿐) (0) | 2012.12.06 |